pISSN: 1738-9224

, Vol.18 no.1 (2022)
pp.1~36

DOI : 10.35637/klehrd.2022.18.1.001

청년 구직자의 직업상담에서 나타나는 전환학습 경험의 의미

김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수료)

이희수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본 연구의 목적은 Mezirow의 전환학습을 기반으로 청년 구직자들이 직업상담에서 겪는 전환학습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청년 구직자가 경험하는 전환 학습의 단계를 혼란한 취업 딜레마 직면의 단계, 성찰적 담론으로 들어가는 단계, 새로 운 자신으로 역동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대에서 30대 초반 의 청년 구직자 8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으로 청년 구직자인 연구 대상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내러티브 탐구를 선택하였다. 연구 대상자와의 심층인터뷰 및 추가 전화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 연구 대상자들에 게 실시된 직업상담에서 Mezirow가 주창한 전환학습 경험이 모두 나타났음을 발견하였 다. 청년 구직자들은 먼저, 직업현실과 자기역량, 상실감과 성취욕 사이에서 의사소통적 학습에 직면하였다. 이후 혼란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적 학습으로 들어가는 두 번째 단계로 나아갔다. 이 단계에서 직업현실과 자기역량, 상실감과 성취욕 사이에서 혼 란한 딜레마를 객관적 담론으로 성찰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청년 구직자들이 겪은 전환 학습 경험 의미의 최종 단계인 해방적 학습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청년 구직자들이 직업상담에서 어떤 전환학습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고, 직업상담이 청년 구직자들의 전환학습 경험의 의미를 가지게 하는데 어떤 결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적 의의가 있다.

Exploring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that appear in job counseling for young job seekers

Kim, Jin

Lee, Hee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experienced by young job seekers in job counseling based on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he researcher divided the stag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d by young job seekers into the stages of facing a confused job dilemma, the stage of entering a reflective discourse, and the stage of dynamizing into a new self.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eight young job seekers in their 20s to early 30s, and as a method of the study, a narrative exploration that can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young job seekers was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subjects and additional telephone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advocated by Mezirow appeared in job counseling conducted on the study subjects. Young job seekers first faced communication learning between job reality and self-competence, loss and desire for achievement. Since then, it has moved on to the second stage of instrumental learning to solve the confused dilemma. At this stage, a phenomenon of reflecting on the confused dilemma between job reality and self-competence, loss, and desire for achievement as an objective discourse appeared. Liberating learning which is the final step in the meaning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experienced by young job seekers, was achieved. This study is of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what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young job seekers have in job counseling and reveals how job counseling plays a decisive role in making young job seekers'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meaningful.

Download PDF list





[06978]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숭실대학교     Tel. 02-820-0804     Email. klehrd@ssu.ac.kr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Soongsi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